‘RSV Bible은 대한민국 장로교의 분열을 인준하였다’를 YouTube로 올렸다.
독자 여러분께서 구글의 검색에 ‘함시영 목사’를 기입하면 함시영 목사 관련 이미지가 나타나고, 그 위에 검색결과(함 목사 강의 분야별로 정리)를 참조하면 위의 강의를 듣고, 기독교와 천주교의 차이점은 물론 철학과 타종교와도 비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자가 그 동안 강의한 내용도 시청할 수 있다.
1. 네비어스의 선교지 분할정책
존 리빙스톤 네비어스(John Livingston Nevius, 1829-1893)는 미국 뉴욕 출생으로, 유니언대학(Union College in Schenectady)과 프린스턴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를 졸업하였다. 이후 북장로회 중국 선교사로 파송을 받아 1854년 중국 남부 닝보(寧波)에 도착해 선교를 시작하여, 1893년 별세하기까지 40년간 중국 선교사로 활동하였다.
네비우스가 중국에서의 선교활동을 위해 잉글랜드 선교사(Henry Venn, 1796-1873)와 미국의 선교사 루프스 앤더슨(Rufus Anderson, 1796-1880)의 기존선교사상을 발전시킨 네비우스 선교방법(The Nevius Plan)으로 유명하다.
그것은 토착 주민이 토착 주민에게 전도하는‘자전’(自傳; self-propagation), 토착 교인이 토착 교회 목회자의 생활비와 교회 운영을 책임지는‘자립’(自立; self-supporting), 토착 교회 문제를 토착 교인들이 처리하도록 하는‘자치’(自治; self-governing)다.
조선에 온 언더우드(영어: Horace Grant Underwood, 조선어 이름은 원두우, 1859-1916)를 비롯한 미국 북 장로회 선교사들은 네비우스의 저서 ‘선교 교회의 설립과 발전’(The Planting and Development of Missionary Churches, 1886)을 접하면서, 그를 조선에 초청해, 선교노하우를 배우면서, 다음과 같은 선교지 분할정책을 수립한다.
(1) 미국 북 장로교: 평안과 황해, 경북
죽산(竹山) 박형룡(朴亨龍, 1897-1978) 박사는 평안북도, 추양(秋陽) 한경직(韓景職, 1902-2000) 목사는 평안남도 출신이다.
(2) 미국 남 장로교: 제주도를 포함한 전라도와 충청도
(3) 캐나다 장로교: 회The Presbyterian Church in Canada): 함경도
장공(長空) 김재준(金在俊, 1901-1987)은 함경북도 출신으로 캐나다 장로교회 소속 선교사로 내한하여 함경북도, 만주, 서울 등지에서 전도와 교수사역을 했던 서고도(William Scott, 1886-1976) 선교사의 영향을 받았다.
(4) 호주 장로교: 부산과 경남지방
(5) 침례교 성결교 구세군 그리고 성공회 등은 동참하지 않았고, 이들 교파는 자유롭게 선교하였다.
2. 교회와 국가
(1) 미국 제3대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재위 1801-1809, 1743-1826)은 1777년에 작성한 ‘버지니아 종교자유 법안’(Virginia State Bill for Establishing Religious Freedom)의 초안(이 주법은 1786년이 되어서야 통과됨)을 통해서 자신의 종교적 신념을 다음과 같이 밝힘으로서, 교회와 국가의 분리가 법으로 자리잡는 계기가 되었다.
“어느 누구도 특정한 종교의 예배나 장소나 성직자에 대한 참석이나 지지를 강요받지 않아야 하며, 어느 누구도 이와 관련해 자신의 신체나 재산에 대한 강요나 억제나 폭력이나 부담을 받지 않아야 하며, 자신의 종교적 의견이나 믿음 때문에 고통을 받지 않아야 한다.”
(2) 조선 초대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일본어: 伊藤博文, 1841-1909)는 당시의 한일 감리교회의 감독이었던 해리스(C. M. Harris)를 만나, “정치상의 일체의 사건은 제가 그것을 담당하지만 금후 조선에서 정신적인 방면의 계몽․교화에 관한 것은 바라건대 당신이 그 책임을 담당해 주시오. 그리하여야만 조선 인민을 유도하는 사업은 비로소 완성될 수 있습니다”라고 언급하면서, 종교의 영역은 기독교가 그리고 정치 및 사회적인 영역은 조선 통감부가 각각 분담하자는‘정교이원론(政敎二元論)’을 제안한다.
이런 사상 때문에, 일제치하에서의 조선독립문제로 서양선교사와 조선인들 간의 끊임없는 긴장이 있었고, 후에 정통복음주의기독교가 정치와 사회 문제 등에 대해서 다소 무관심경향을 보이는 원인을 제공한다.
3. 죽산 박형룡과 장공 김재준의 성경관
(1) 죽산(竹山) 박형룡(朴亨龍, 1897-1978)
죽산 박형룡 박사는 평안북도 벽동 출신으로 장로교 김익두(金益斗, 1874-1950: 황해도 출신으로 1906년 평양신학교에 입교하여 1910년 3회로 졸업) 목사의 설교를 듣고 회심의 실존적 결단을 하고, 백동교회에서 ‘예수천당의 종’ 최권능(본명 최봉석 崔鳳奭, 1869-1944: 1907년 평양장로회신학교에 입학한 동시에 1897년 북장로교 선교사로 내한한 시릴 로스Cyril Ross 1868-1963, 盧世永가 1902년부터 담임하고 있는 벽동읍교회에 조사助事로 부임하였다. 최봉석 조사는 7년 만에, 곧 1913년 6월 제 6회로 평양장로회신학교졸업)목사로부터 세례를 받고, 1921-1923 중국의 금릉대학(金陵大學) 문학사 학위 취득, 1923-1926년 미국 뉴저지의 프린스턴 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PTS: 1812년 세워진 미국 장로교 신학교로 미국장로교Presbyterian Church USA, PCUSA산하 교육기관)에서 신학사(Th. B)와 신학석사(Th. M) 학위를 동시에 취득, 1927년 9월 켄터키주 루이빌에 있는 남 침례교 신학교(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BTS, in Louisville, Kentucky: 1859년에 설립)에 입학해 1929년 박사과정을 마치고, 1929년 귀국하여 산정현 교회에서 교육전도사를 역임하고, 1930년 4월 장로회평양신학교임시교수가 되며, 1930년 5월 결혼하고, 1931년 4월 전임교수가 되면서, 산정현교회에서 평양노회로부터 목사안수를 받는다. 1932년 봄 남 침례교 신학교에서 기독교 변증학으로 박사학위 취득한다.
위에서 보듯이, 박형룡 박사는 미국 북 장로교 선교사가 뿌려놓은 모판에서 성장하고, 평양신학교 출신 목사님들을 통해서 회심경험과 세례의식을 거쳐, 미국 정통 장로교와 남 침례교계통의 신학교에서 수학한 후, 그의 호 죽산답게, 그리고 그의 박사학위(기독교변증학) 수여자답게, 그는 정통 기독교수호에 일생을 바쳤다.
죽산은 자연스럽게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신앙의 기초위에서, 인간의 이성이 미처 이해하지 못할 경우, 성경에 모순(contradiction)이나 오류(error)가 있다고 말하지 않고, 성경에 난제(Bible difficulties, Hard sayings)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역사적 비평적 방법’을 배제하고,‘언사적(言辭的), 또는 언어적(言語的)-유기적-완전 영감설’(Verbal-Organic-Plenary inspiration)을 주장한다.
이것이 ‘역사적 비평적 방법’의 성경관을 갖고 있는 장공 김재준과의 큰 차이점이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기독교가 말하는 ‘축자(逐字)영감’은 는 영어로 ‘verbatim inspiration’이기 때문에, 용어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2) 장공(長空) 김재준(金在俊, 1901-1987)
장공 김재준은 두만강 변 산골인 함경북도 최북단 경흥군 오아지읍 창동에서 태어났고, 그 곳은 정통 기독교와는 거리가 먼 자유주의 캐나다 선교사들이 뿌려놓은 씨앗 때문에, 자연스럽게 장공은 자신의 호답게 하나님의 계시의 성경관을 갖기 보다는 인간의 이성과 과학적인 자유분방한 성경관을 견지하여, 후에 정통 장로교로부터 버림을 받는다.
뿐만 아니라 장공은 1920년 서울에 올라와 YMCA 이상재, 윤치호, 신흥우 등의 시국 강좌에 참석하면서 기독교 신앙을 만나고 신문화에 눈을 뜨고, 1921년 승동교회에서 김익두 목사의 창세기 1:1의 설교를 들으면서 회심의 경험을 하지만, 기본적인 정통신학을 갖지 못한 채, 진보 신학의 산실 뉴욕 유니온 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City of New York, 약칭 UTS. 1836년 설립, 뉴욕 맨하튼의 콜롬비아 대학교 안에 자리하고 있다. 기독교 불자, 법명이 대광명인 정현경 박사가 아시안 종신교수로 재직중)의 지류인 자유주의적 신학의 분위기가 강한 일본 아오야마(靑山學院청산학원) 신학원 유학생활(1926-28: 졸업논문‘바르트의 초월론’)을 거쳐 미국에 유학하며, 1928년 9월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1년을 수학한다. 장공이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있는 기간은 매우 불행하게도 성경관으로 대립의 길을 걷다가, 성경본문에 근거한 신앙(a text-oriented faith)에 기초한 웨스트민스터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가 1929년 7월 18일 개교하고, 아이러니컬하게도 대공황(Great Depression, 1929-1939)이 일어난 시기와 겹친다.
일본 유학 후 미국에 왔기 때문에,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보낸 기간은 신학공부보다는 영어훈련기간이라고 볼 수 있다.
그 후, 장공은 1929년 9월 피츠버그(Pittsburgh) 시 웨스턴신학교(Western Theological Seminary, WTS, 1866 년에 설립 )로 가 1931년 5월 동안 수학하면서 구약을 전공하여‘오경비판과 주전 8세기 예언운동’이란 논문으로 신학석사(STM) 학위를 받고 1932년 5월 귀국하고, 1958년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에서 명예신학박사 학위를 받는다.
이처럼 장공은 기독교를 접하는 초기부터 ‘역사-비평적 방법’(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곧‘고등비평’(Higher criticism: 하등비평인 본문비평과 달리, 고등비평은 성경본문에 내재하는 증거들을 찾아내어 성경문서의 형성사와 그 역사적 가치를 이해하려는 관심과 목적을 의미)의 성경관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대쪽 같은 신앙의 사람 죽산의 반대로, 장공은 평양신학교 교수가 되지 못하고, 조선인 최초의 신약학 전공, 신학박사학위소유자인 동시에 조선인 최초의 평양신학교 신학 교수이면서 ‘신학지남’의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던 남궁혁(南宮爀, 1881-?) 박사의 배려로 ‘신학지남’의 정규 기고자가 된다. 남 박사는 죽산이 미국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했을 때 자기 집에서 환영 만찬을 하면서 신학교수의 길을 열어 주었고 장공도 아끼고 있었던 대 선배신학자였다.
1933년 ‘욥기에 현한 영혼불멸’(15권 3호)을 기고한 이후 1935년까지 8편의 논문을 기고했는데, 당시 구미 신학계의 연구경향인 역사 비평학을 소개하다가, 그만 자신의 속마음을 내놓고 마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것은 1933년 9월 ‘신학지남’에 실린 ‘전기적으로 본 예레미야의 내면생활’과 1934년 1월호‘신학지남’에 수록된
이사야 7:14의 “그러므로 주께서 친히 징조로 너희에게 주실 것이라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개역한글)를 주석한‘이사야의 임마누엘 예언연구’다.
장공은 전자에서 모세5경의 기자가 모세임을 부인하며 여호와의 전기가 신명기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하고, 후자에서 히브리어 ‘알마’는 ‘방년의 젊은 여자’를 뜻하기 때문에, 반드시 생물학적 의미의 ‘동정녀’라고 해석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잉태’를 가리키는 히브리어 ‘히라’는 히브리어의 상태 동사 ‘하라’의 분사형태이기 때문에, ‘엘마’의 형용사 역할을 하는 것이라 했다. 즉, “잉태한 방년의 젊은 여자가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는 번역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게다가 장공은 임마누엘이 원래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 것이 아니라 후대의 신약성경 기자가 덧붙인 것이라고 주장하여, 이미 선을 넘고 말았다.
신학지남 편집위원이었던 박형룡 박사는 기독교 변증가답게 장공의 신학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장공에게 비교적 관용적이었던 신학지남 편집장인 남궁혁 박사도 장공의 신학을 우려했다. 결국 장공은 1935년 5월호를 끝으로 신학지남에 더 이상 기고 할 수 없게 되었고, 이에 장공은 1937년 5월 독자적인 잡지 ‘십자군’을 창간한다.
그리고 1935년에 아빙돈 주석사건이 일어난다.
1930년에 미국 감리교회 출판국이었던 아빙돈(Abingdon) 출판사는 미국의 다양한 교단의 66명의 학자들이 성서고고학과 성서비평학을 수용하여 복음적으로 저술한‘아빙돈 성경 주석’(The Abingdon Bible Commentary)을 간행한다. 조선 감리교회 교육국 총무였던 유형기(柳灐基,1897-1989. 평안북도 영변에서 출생했다. 배재학당을 거쳐서 평양의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하여 아오아마학원에서 수학했다. 다시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1923년 오하이오 웨슬리안 대학교 문학부를 졸업하였고, 1926년과 1927년에는 보스턴 대학교 대학원과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을 각각 졸업했다. 미국 유학 중 이화학당 출신의 유명한 신여성으로 유관순의 스승이기도 했던 신준려와 만나 결혼. 1948년에는 재건된 감리교신학대학교 제9대 교장에 취임해 1953년까지 재직) 목사는 조선 선교 50주년의 기념을 위해 미국의‘아빙돈 성경 주석’을 출판하기 위해 번역위원 52명 학자들을 초청하여, 자신의 주도로 1934년 12월에 신생사(新生社)에서 출판한다.
그러자 아빙돈 주석에 참가한 채필근, 한경직, 송창근, 김재준 등 장로교 목사들이 소속되어 있던 평양 노회에서, 특히
1907년 장로교가 배출한 최초의 한국인 목사 7명 가운데 한 사람으로 한국의 사도 바울이라고 일컫는 길선주(吉善宙, 1869-1935) 목사가 이 주석의 집필자 대부분이 자유주의 신학자이고 그 내용도 현대주의 성경해석 원리를 따르는 자유주의사상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이 사상이 장로교회 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평양신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던 박형룡 박사도 이 주석이 고등비평의 원칙을 따르므로 성경을 파괴적으로 해석하며 계시의 역사를 종교적 진화의 편견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단정한다. 결국 장로교회는 1935년 9월에 열린 제24회 총회에서 아빙돈 주석은 장로교 교리에 위배되는 점이 많아, 구독을 금지하고, 여기에 참여한 장로교 학자들에게 공개적인 사과를 결의한다.
이로 인해 감리교회와 장로교회의 신학적 대립이 표면화한다.
그러자 채필근은 잘못을 시인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반면에, 송창근, 김재준, 한경직은 침묵한다. 장로교회 측에서 ‘신학지남’의 편집책임자인 남궁혁 박사에게 이 세 사람을 집필진에서 빼라고 압력을 가한다. 이에 남궁혁의 요청으로, 세 사람은 공동명의로 자신들이 쓴 주석에는 문제되는 것이 없지만, 이 때문에 교회가 소란하게 된 점은 유감으로 생각한다는 성명서를 ‘신학지남’에 보낸다. 그 동안 ‘신학지남’에 올린 글로 공격을 받던 장공 김재준은‘아빙돈 주석사건’으로‘신학지남’의 편집실무는 물론, 논문기고까지 제재 당하는 보복을 받는다.
4. 김재준 목사의 제명과 철회
1947년 4월 18일 조선신학교 학생조직인 ‘51인 신앙동지회’는 대구제일교회당에서 열린 제33회 총회에 주로 김재준의 비판(성경에는 오류가 많으며, 유일신 엘로힘은 셈족의 신이며, 노아홍수설, 바벨탑 기사, 인류의 기원 등은 모두 허구이고, 구약성경의 문서설, 모세 6경설, 제2이사야서설 등을 주장하며, 칼빈의 예정론은 운명론과 다를 바 없다고 가르침)이 담긴 ‘진정서’를 제출한다. 이어 1947년 5월 12일부터 15일 서울 피어선성경학교에서 ‘51인 신앙동지회’ 호소문과 김재준의 진술서와 면접 조사를 한다.
김재준은 바르트주의 성경관이 자신의 사상이라고 천명하며 다음과 같이 변론한다.
“성경에 다소 오류가 있으나 그 속에 구속하는 이치가 있다는 점에서 성경은 무오하다“. 성경의 역사와 과학 관련 본문에는 오류가 있으나 구원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서는 성경은 무오(infallable, not inerrant)하다는 발언이다.
기독교 변증가 박형룡 박사는 김재준의 진술서를 분석한 결과 “김재준 교수의 진술서에 나타난 성서관은 파괴적 고등비평의 성서관이요, 교리문제에 대한 변명은 신신학의 교리관이다”고 규정한다.
RSV의 구약이 출판한 동년 1952년 4월 29일 제37회 총회(총회장 김재석)는 성경의 역사적 유오성 주장, 성경의 축자영감 부인, 오경의 모세 저작 부인 등을 근거하여 장공을 그가 소속된 경기노회에게 명하여 목사직을 면직토록 결의한다. 경기노회는 1952년 5월 13일 전필순, 유호준 목사를 중심으로 총회 결의에 불복을 선언한다.
결국 이듬해 1953년 4월 25일 제38회 총회(1953.4.24-28)에서 총회장 명신홍목사는 “목사 김재준씨는 제36회 총회 결의를 무시하고 성경유오설을 계속 주장하였으므로 권징조례 제6장 42조에 의하여 목사직을 면직하고 그 직분을 주 예수의 이름과 그의 직권으로 금한다”라고 선언한다.
이에 대하여 장공에 동조하는 목사 26명과 장로 26명은 그해 6월 10일 조선신학교 강당에 모여 호헌한다는 명분으로 새 총회를 열고, 1954년에 한국기독교장로회라고 호칭하면서, 조선신학교는 한국 신학대학이 된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은 제101회 총회(2016.9.26.-29, 안산제일교회당) 중 9월 27일 故 김재준 명예박사에 대한 제명, 파면을 철회하고, 10월12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예장통합) 이성희(연동교회) 총회장을 비롯한 임원진이 서울 종로구 연지동 한국기독교연합회관에 위치한 기장 총회를 방문해 ‘고(故) 장공 김재준 목사 제명 결의'를 철회하는 공문을 전달한다.
5. 종합
미국 북 장로교 선교사가 뿌려놓은 모판에서 성장하고, 평양신학교 출신 목사님들을 통해서 회심경험과 세례의식을 거친 죽산 박형룡 박사는 미국 정통 장로교와 남 침례교계통의 신학교에서 수학한 후, 그의 호 죽산(竹山)답게, 그리고 그의 박사학위논문‘자연과학으로 부터의 반기독교적 유추들’의 저자답게, 언사적(言辭的), 또는 언어적(言語的)-유기적-완전 영감설’(Verbal-Organic-Plenary inspiration)의 성경관을 갖고 정통 기독교수호에 일생을 바쳤다.
이와는 달리 자유주의 캐나다 선교사들이 뿌려놓은 씨앗을 먹고 성장한 장공 김재준은 일본 자유주의 신학의 산실인 아오야마(靑山學院청산학원) 신학원(1926-28: 졸업논문‘바르트의 초월론’)을 거쳐 미국의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1년 수학(1928. 9-1929.9), 그리고 미국의 웨스턴 신학교(1929. 9-1931. 5)에서의 석사논문 ‘오경비판과 주전 8세기 예언운동’을 통해서, 죽산과는 다른 성경관을 갖고 있음을 천명한다.
죽산은 성경을 읽다가 인간의 이성으로 이해하지 못할 경우, 성경에 모순(contradiction)이나 오류(error)가 있다고 말하지 않고, 성경에 난제(Bible difficulties, Hard sayings)가 있다는 피조물의 겸손의 학문자세를 지녔다면, 장공(長空)은 자신의 호답게, 구속사의 성경해석에 구애받지 않고 하늘을 훨훨 나는,‘역사-비평적 방법’(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곧‘고등비평’(Higher criticism)의 성경관을 유지하다가 장로교로부터 단죄된다.
2016년 통합 측은 기장 측에게‘고(故) 장공 김재준 목사 제명 결의'를 철회하는 공문을 전달하며, 대인의 관용자세를 취했지만, 결국 기장과 통합 측의 성경관은 자유주의사상임을 전 세계에 선언한 꼴이 되었다.
이것은 1953년의 기장측의 분열을 뛰어넘어 1959년 합동측과 통합측이 WCC 가입 찬반 문제로 분열된 이유를 잘 대변해준다.
그리고 RSV Bible의 등장(1946 신약, 1952 구약, 1957 외경), 특히 이사야 7:14의 히브리어 단어‘알마’의 해석의 논쟁을 일으킨 1952년의 구약성경출판은 대한민국 장로교의 분열을 인준한 꼴이 되었다.
'자유와 정의의 나라 > 신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V Bible은 기독교 변증가요 독립 운동가이자 애국자인 죽산 박형룡 박사를 두려워한다’ YouTube!!! (0) | 2020.12.16 |
---|---|
‘RSV Bible은 독립운동가를 조롱하고, 반(反) 정부 시위자를 두둔하는 도구로 전락하였다’ YouTube!!! (0) | 2020.12.12 |
‘RSV Bible은 정통 복음주의 기독교의 분열을 초래하였다’ YouTube!!! (0) | 2020.12.02 |
‘머서스버그운동(Mercersburg Movement)이 ASV Bible를 태어나게 하고 미국칼뱅파를 분열시켰다’ YouTube!!! (0) | 2020.11.26 |
‘오컬트 바티칸의 첩자 필립 샤프가 ASV Bible 번역을 주도하였다’ YouTube!!! (0) | 2020.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