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와 정의의 나라/신학 이야기

‘영국의 대 몰락과 존 H. 뉴먼의 시성의 허구성(2)’ YouTube!!!

아우구스티누스 2020. 9. 11. 14:26

영국의 대 몰락과 존 H. 뉴먼의 시성의 허구성(2)’YouTube로 올렸다.

 

독자 여러분께서 구글의 검색에 함시영 목사를 기입하면 함시영 목사 관련 이미지가 나타나고, 그 위에 검색결과(함 목사 강의 분야별로 정리)를 참조하면 위의 강의를 듣고, 기독교와 천주교의 차이점은 물론 철학과 타종교와도 비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자가 그 동안 강의한 내용도 시청할 수 있다.

 

H. 뉴먼이 영국 성공회의 사제에서 천주교로 전향한데는 다음과 같은 두 사람의 영향이 컸다.

 

1. 니콜라스 와이즈먼(Nicholas Patrick Stephen Wiseman, 1802-1865)

 

니콜라스 와이즈먼은 아일랜드 부모님이 비즈니스를 위해 간 스페인 세비야(스페인어 Sevilla; 영어 Seville)에서 태어나, 부친이 사망하던 1805년 부모님의 저택인 아일랜드 워터포트(Waterford)로 이주한다. 어릴 때부터 그에겐 천주교 DNA로 가득 차 있었고, 자연스럽게 23세 때인 1825년 로마에 있는 영국인 신학생들을 위한 신학교인 영국학원(이탈리아어 Venerabile Collegio Inglese; 영어 The Venerable English College or The English College)에서 신학박사 학위와 더불어 사제수품을 받고, 25세 때인 1827년에 the English College의 부총장직을, 1828년에는 26세의 나이로 총장직을 역임한다.

 

영국학원은 1362년 영국인 로마 순례자들을 위한 숙소로 시작하여, 주교를 거치지 않고 로마 가톨릭 추기경이 된 잉글랜드 출신 윌리엄 앨렌(William Allen, Guilielmus Alanus or Gulielmus Alanus, 1532-1594: 18세에 옥스퍼드 대학교 내 오리엘 칼리지Oriel College in Oxford의 학사학위)이 은밀하게 잉글랜드 선교사 사제들을 양육시켜 잉글랜드를 로마 가톨릭으로 전향시키기 위해 앨렌이 이미 1568년에 창립한 프랑스 두웨이 가톨릭 신학교(프랑스어 College des Grands Anglais; 영어 The English College 또는 a Catholic seminary in Douai, France)를 모델로 1576년에 세워, 1577년 프랑스 두웨이 40명의 학생들을 초청해 강의를 시작하고, 교황 그레고리오 13(라틴어 Gregorius PP. XIII;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XIII; 영어 Pope Gregory XIII, 재위 1572-1585, 1502-1585)1579년에 인준하면서 예수회 출신 아폰소 아가자리(a Jesuit, Alfonso Agazzari)를 총장(rector)으로 임명하고, 1773년 교황 클레멘스 14(Pope Clement XIV, 재위 1769-1774, 1705-1774)에 의해 예수회가 해산될 때까지 이들이 학교를 이끌어갔고, 그 후 학교의 지도 관할은 이탈리아 재속신부들(Italian secular priests)에게 맡겨져 프랑스인들의 로마 침공 때까지 계속되었다. 1818년 비오 7(라틴어 Pius PP. VII; 이탈리아어: Papa Pio VII; 영어 영어 Pope Pius VII, 재위 1800-1823, 1740-1823: 교황의 어머니는 남편을 여읜 다음 다섯 자녀를 다 키운 후 가르멜 수녀회에 입회하여 수녀가 되었고, 교황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éon Bonaparte, 황제 1804-1814, 1769-1821로부터 1809년 체포감금당한 후, 나폴레옹이 퇴위하자마자, 181542년 만에 예수회를 원상 복귀시킴)가 이 학교를 재건하여 이때부터 학교의 관리 책임은 영국인 재속신부들에게 맡겨졌다.

 

리바이던’(리바이어던, 혹은 교회 및 세속적 공동체의 질료와 형상 및 권력; Leviathan, or The Matter, Forme and Power of a Common-Wealth Ecclesiastical and Civil, 1651)저자로 잉글랜드 최초의 민주적 사회계약론자 토머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163512, 1623년 제임스 1(James I, 영국 왕 재위1603-1625, 1566-1625; James VI, 스코틀랜드 왕 재위 1567-1625)1627년 찰스 1(Charles I, 재위 1625-1649, 1600-1649)의 시의(侍醫:)를 지낸 천주교 신자 윌리엄 하비(William Harvey, 1578-1657)1636, 잉글랜드의 시인이자 청교도 사상가 존 밀턴(John Milton, 1608-1674)1638, 잉글랜드 고교회 성직자에서 천주교로 전향한 리처드 크래쇼(Richard Crashaw, 1613-1649)1646, 잉글랜드 일기 작자, 정원사인 존 에블린(John Evelyn, 1620-1706)1644년 영국학원을 다녔다.

 

앨렌은 1588년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Elizabeth I, 재위 1558-1603, 1533-1603)와 펠리페 2(스페인어 Felipe II-영어 Philip II; 스페인어 Felipe el Prudente-영어 Philip the Prudent , 재위 1556-1598, 1527-1598)그란데 이 펠리치시마 아르마다’(위대하고 행운이 넘치는 무적함대’(Grande y Felicisima Armada그란데 이 펠리치시마 아르마다; Great and Most Fortunate Navy; The Spanish or Invincible Armada)의 해전 계획에 가담했을 정도로 잉글랜드와 국민에게 비정한 무정부주의자였다.

 

앨렌은 교황 비오 5(라틴어 Pius PP. V; 이탈리아어 Papa Pio V; 영어 Pope Pius V, 1566-1572, 1504-1572)에게 엘리자베스 1세의 퇴위를 선언할 것을 주문하고, 교황은 1570427일 칙서 천상의 통치’(Regnans in Excelsis)를 반포하여 엘리자베스 1세를 이단자로 선언하며, 그녀의 신하들과 백성들에게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한 충성의 의무를 면제시켜 준다. 엘리자베스 1세는 이에 반발하여, 그동안 잉글랜드의 천주교 신자들이 개인적으로 미사를 봉헌하는 것에 대해 관대하게 처분하던 조치를 물리치고 천주교신자들을 가혹하게 박해하기 시작한다.

 

엘리자베스 1세 집권 이후 유럽 대륙으로 피신한 천주교신도들을 위해 1559년 설립된 프랑스 두웨이 대학교(프랑스어 Université de Douai; 영어 The University of Douai in Douai, France)와 연합한, 1561년에 설립된 프랑스 두웨이 가톨릭 신학교(프랑스어 College des Grands Anglais; 영어 The English College 또는 a Catholic seminary in Douai, France)에서 앨렌의 지도하에 라틴어 불가타 성경을 영어로 번역한 두웨이 라임스 성경’(The DouayRheims Bible, the RheimsDouai Bible or Douai Bible, DR, DRB: 광범위한 주석이 달린 신약은 1582년 프랑스 라임(Reims, France)에서 1권으로 출판되고, 구약은 1609, 1610년 두웨이대학교the University of Douai에서 두 권으로 출판)이 태어난다.

 

한편, 1833년에 뉴먼과 프로드(Richard Hurrell Froude, 1803-1836: Oriel College, Oxford에서 John Keble를 만나 멘토로 삼고, 26세 때인 1829년 영국 국교의 사제가 되어 옥스퍼드 운동의 초기 지도자로 활동)는 로마에 있는 와이즈먼을 방문한다.

 

고교회파(High Church) 성공회신자로 1832-45, 1847-95년에 하원의원을 지내고, 빅토리아 여왕 때 토리당(1828-1834), 보수당(1834-1846), 필파(1846-1859), 자유당(노동당, 1859-1898)에 소속하며, 4번이나 자유정부를 이끌며 수상(네 번째 수상재임은 83세 때인 1892년부터 85세 때인 1894년 임)을 역임하면서, 당대 토리당의 지도자 유대계(12세까지 유대교신자였고, 그 후 영국국교도가 됨) 벤저민 디즈레일리(Benjamin Disraeli, 1st Earl of Beaconsfield, 1804-1881: 두 차례 수상1868.2.27.-1868.12.1., 1874-1880)와 쌍벽을 겨루며, 독일을 통일하여 독일 제국을 건설한 프로이센의 수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Otto Eduard Leopold von Bismarck, 1815-1898)에 맞선 윌리엄 E. 글래드스턴(William Ewart Gladstone, 1809-1898)과 아일랜드 더블린 출신 잉글랜드 국교회의 대주교(1835년 사제서품 받고, 1856년 웨스트민스터 성당의 수석사제Dean of Westminster Abbey로 임명되고, 1863년 더블린 대주교Archbishop of Dublin자리에 오르고 1884년 사직) 리처드 체네빅스 트렌치(Richard Chenevix Trench, 1807-1886: 1857115우리 영어사전의 결핍에 대한 단상On some Deficiencies in our English Dictionaries’에서 트렌치 대주교가 옥스퍼드 영어사전the great Oxford English Dictionary’ 편찬 방침을 밝히고, 1884년 제1권이 간행되고, 1928년 초판인 전 10권이 완성됨)가 와이즈먼을 방문한다. 그 후 트렌치는 신약개역위원회의 멤버(a member of the committee for the revision of the New Testament)가 된다,

 

와이즈먼은 1835-1836년 동안 잉글랜드를 방문하여, 로마 가톨릭사상의 주요 교리와 원리를 강의했다. 그의 강의는 영국 성공회 교수와 사제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당시 옥스퍼드 대학교 내 오리엘 칼리지(Oriel College in Oxford) 교수로 히브리어어 학자로 유명한 에드워드 부브리 퓨지(Edward Bouverie Pusey, 1800-1882) 성공회 사제의 요청에 의해 성공회 사제이자 오리엘 칼리지 교수인 존 H. 뉴먼(John Henry Newman, 1801-1892)183612브리티쉬 비평’(The British Critic)에서 와이즈먼의 강의를 논평하며, 그것의 대부분이 대중적인 프로테스탄트사상에 대한 승리라고 비평한다.

 

1836년 와이즈먼은 아일랜드 저널리스트인 마이클 J. (Michael Joseph Quin, 1796-1843)과 아릴랜드 로마 카톨릭 정치 지도자 다니엘 오코넬(Daniel O'Connell, 1775-1847)과 더불어더블린 리뷰’(the Dublin Review: 1916the Wiseman Review으로 명칭이 변경)를 창설하면서, 잉글랜드 천주교신자들에게 천추교신앙의 고차원적인 이상과 교황권에 대한 열정을 심어주는 동시에 옥스퍼드 운동(Oxford Movement, 1833-1845)을 다룬다.

 

특히 18398더블린 리뷰에 실린 와이즈먼의 도타투스파에 대한 논설(the Donatist schism[sízm])은 옥스퍼드 운동에 강한 인상을 심어준다. 뉴먼을 비롯한 영국성공회 사제 겸 교수들은 도나투스파와 영국 국교도와의 유사성을 인식하며 충격을 받는다.

 

38세 때인 1840년 와이즈먼은 주교가 되어 잉글랜드에 파송되고, 잉글랜드와 웨일즈 가톨릭교회의 신학교 함께 세 신학교 가운데 하나인 버밍엄 오스코트 대학교(Oscott College 또는 St Mary's College in New Oscott, Birmingham) 학장으로 임명된다. 오스코트는 잉글랜드와 웨일즈 천주교 신학교와 더불어 잉글랜드 로마 가톨릭의 중심지가 되고, 옥스퍼드에서 많은 개종자가 나타난다.

 

48세 때인 18509월 잉글랜드와 웨일즈 가톨릭 성직제도 재창립에 의해 최초로 웨스트민스터 대주교(the first Archbishop of Westminster), 동년 10월 가톨릭교회 추기경의 자리에 오른다.

 

2. 도미니크 바르베리(Dominic Barberi, 1792-1849)

 

도미니크 바르베리는 이탈리아 출신으로 22세 때인 1814년에 예수 수난수도회(라틴어 Congregatio Passionis Iesu Christi, C.P.; 영어 the Congregation of the Passion of Jesus Christ or the Passionist Congregation: 성 십자가 바울St. Paul of the Cross이 예수그리스도의 수난the Passion of Jesus Christ를 위해 설립하였는데, 1725년 교황 베네딕토 13; 라틴어 Benedictus XIII; 이탈리아어: Papa Benedetto XIII ; 영어 Pope Benedict XIII, 재위 1724-1730, 1649-1730가 인가) 입교한 후, 26세 때인 1818년 사제서품을 받는다. 바르베리 사제는 48세인 1840년부터 잉글랜드에서 선교사역을 시작하며 옥스퍼드운동(Oxford[άksfərd] Movement, 1833-1845)에 깊은 관심을 가진다.

 

바르베리 선교사는 잉글랜드 성공회와 바티칸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는 옥스퍼드 대학생인 댈게이른스(Dalgairns)를 편지를 통해 천주교교리를 설명하면서, 18459월 그를 천주교신자로 만드는데 성공한다.

 

동년 109일 바르베리 선교사는 영국 옥스퍼드에 있는 지역 및 시민 교구인 리틀모어(Littlemore is a district and civil parish in Oxford, England)를 방문해, 뉴먼으로부터 고해성사를 이끌어낸다. 뉴먼은 이 당시 상황을 자신의 저서변명’(Apologia)에서 이렇게 고백한다. “바르베리 선교사는 비를 흠뻑 맞은 채로 자신을 방문했는데, 뉴먼은 불을 지펴서 옷과 그의 몸을 말린 후, 뉴먼은 무릎을 꿇고, 자신이 천주교로 전향하려고 하는데 받아줄지 물었다

 

이런 모습은 리틀모어의 복자 도미니크 바르베리 천주교 교회(the Catholic Church of Blessed Dominic Barberi at Littlemore)에 조각되어 있다. 당시 뉴먼의 동료 두 사람도 천주교로 입교했고, 바르베리는 다음날 그들을 위해 미사를 거행했다.

 

이런 공로로 제2차 바티칸공의 때인 1963년 바르베리는 교황 바오로 6(라틴어 Paulus PP. VI; 이탈리아어 Papa Paolo VI; 영어 Pope Paul VI, 재위 1963.6.21.-1978.8.6, 1897-1978)로부터 복자(福者; 라틴어 Beatus; 영어 Blessed)로 승격된다.

 

3. 종합

 

뉴먼이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장 칼뱅(라틴어 Ioannes Calvinus; 프랑스어 Jean Calvin; 독어 Joannes Calvinus; 영어 John Calvin; 본명 장 코뱅Jean Cauvin, 1509-1564)처럼 성경학자가 되었다면 결코 천주교로 전향하지 않았을 텐데, 그는 바티칸 세력이 이미 위조한 초대 교부들의 글(라틴어와 그리스어)에 유혹되어 믿음을 저 버리고, 무정부주의자답게 와이즈먼의 사상에 경도되어, 바르베리의 품에 안기고, 그에게 복자라는 선물을 바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