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영토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자세 '쿠릴열도'(The Kuril Islands, The Kurils, 일본은 ’北方領土’로 표기)는 러시아 동부 사할린주(州)에 속한 열도(列島)로 캄차카 반도와 일본의 홋카이도(北海道) 사이, 오호츠크 해와 북태평양을 가르는 위치에 활처럼 늘어 서있으며, 56개의 섬(Islands)과 바위섬(Rocks)들이 줄지어 분포하고 있는.. 자유와 정의의 나라/철학 이야기 2012.06.01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5월 28일은 붓다가 이 땅에 오신지 불기 2551년이다. 붓다의 반열반(般涅槃)후 제자 가섭의 주도로 결집한 불교 최초의 경전인 Sutta_nipāta(팔리어로 sutta는 팔리어로 經이란 말이고, nipāta는 集成이란 뜻으로 붓다의 설법을 모아놓은 것이란 뜻)에 이런 글이 수록되어 있다. “남들이 원.. 자유와 정의의 나라/신학 이야기 2012.06.01
연암 박지원의 '법고창신'과 니체의 어린아이유형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초정집서'(楚亭集序)에서 이렇게 말한다. “하늘과 땅은 비록 오래되었으나 끊임없이 새것을 낳고, 해와 달은 비록 오래 되었으나 그 빛은 날로 새롭다”(天地雖久 不斷生生 日月雖久 光輝日新). 이 글은 '법고창신'(法古創新)을 의미하는데, '법고창.. 자유와 정의의 나라/철학 이야기 2012.06.01
여성성과 남성성의 조화를 이루는 지도자 19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민족주의 사학자 쥘 미슐레 (Jules Michelet, 1798-1874)는 1855년 자신의 저서 '프랑스사(중세)'( Histoire de France, 6권, 1833-1867)에서 16세기의 유럽을 연구하다가 그 찬란한 시대정신에 ‘재생’과 ‘부활’이란 뜻을 지닌 '르네상스'(Renaissance)란 용어를 처음 만들어내 사용.. 자유와 정의의 나라/철학 이야기 2012.06.01
홍익인간이데올로기는 21세기 세계정신이다 19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민족주의 사학자 쥘 미슐레 (Jules Michelet, 1798-1874)는 자신의 책 '곤충'에서 이렇게 말한다.“곤충의 세계는 무한하다. 작기 때문에 오해받고 있다. 올바르게 판단하려면 그들의 일을, 사회를 응시하고 이해하라. 그렇게저열한 기관으로 그렇듯 위대한 사업을 완성.. 자유와 정의의 나라/철학 이야기 2012.06.01
'분노의 포도'를 '사랑의 포도'로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가 John Ernst Steinbeck(1902-1968) 하면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 1933발표, 1939년 출판)와 '에덴의 동쪽'(East of Eden, 1952) 작품과 더불어 '은막의 반항아' James Byron Dean(1931-1955)의 모습이 오버랩된다. 1940년 전자의 작품으로 Steinbeck은 퓰리처 상을, '불만의 겨울'(The Winter Our D.. 자유와 정의의 나라/신학 이야기 2012.06.01
우리사회의 세가지 통일방안 우리사회엔 세 가지 통일방안이 존재한다. 첫째, 범야권과 극단적인 생태계주의자들과 탈핵주의자들은 대한민국이 부국강병과 한류의 문화대국이 되어, 자주적으로 통일한반도시대를 열고 미국과 더불어 세계를 리드하는 위대한 국가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오히려 그 동안 쌓아왔.. 자유와 정의의 나라/철학 이야기 2012.06.01
수평문화 기초위에 남성성이 결합된 지도자 Johann Wolfgang von Goethe(1749-1832)는 자신의 극시(劇詩) 'Faust' 제2부 마지막 행에서 이렇게 선언한다.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를 이끌어 올린다" 또는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를 구원한다." (Das Ewig-Weibliche zieht uns hinan). 우리사회는 수직문화의 가부장적 시스템으로 수평문화의 어린이, .. 자유와 정의의 나라/철학 이야기 2012.06.01
차기 대통령감 가장 센 권력은 행사하지 않는 권력이고, 가장 아름다운 힘은 약한 자를 배려하고 함께하는 절제된 힘이다. MB를 포함해 역대 대통령 가운데 누가 여기에 해당될까? 과연 차기 대통령은 이런 권력을 행사할까? 그런데 문제는 국민기질이다. 거의 태음인과 소음인으로 구성된 한국인들은 .. 자유와 정의의 나라/철학 이야기 2012.06.01
건강한 군사문화 미국에는 美국방부 JPAC ('The Joint POW/MIA Accounting Command, 합동전쟁포로 및 실종자확인사령부)가 있어 '조국은 당신을 잊지 않는다' (You are not forgotten) 라는 슬로건 아래 자국이 참전한 전쟁( 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전, 걸프전, 이라크전)에서 전사한 자국의 병사들의 유해발굴을 해 .. 자유와 정의의 나라/철학 이야기 2012.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