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626

모화사상(慕華思想)에서 본 대한제국쇠망

프랑스의 학자 쟝 프랑스와 리요타르(Jean Francois Lyotard 1924-)는 담론을‘거대담론’(macro discourse, meta narratives, grand theory)과 ‘미세담론’ 또는 ‘국지적 담론’(micro doscourse, micro storia)으로 구분한다. 조선왕조의 거대담론은 성리학, 곧 모화사상(the idea of worship of Chinese civilization)이다. 중화주의(Sinocentris..

열린사상과 닫힌사상에서 본 대한제국쇠망

20세기를 통째로 살다 간 오스트리아 태생의 영국의 과학 철학자 Karl Raimund Popper(1902-1994)와 프랑스의 생철학자 베르그송(Henri-Louis Bergson 1859-1941)의 ‘닫힌사회’(morale ferm'ee)와 ‘열린사회’(morale ouverte), ‘열린도덕’과 ‘닫힌도덕’의 사상에서 그 용어를 차용하여, 열린 사상과 닫힌 사상에서 대한..

주인사상과 노예사상에서 본 대한제국쇠망

대한제국의 멸망은 여러가지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우선 주인사상과 노예사상 관점에서 상고해보고자 한다. 조선이 외교적으로 지향한 사대교린주의는 중국의 명나라와 청나라로부터 생존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고, 일본에 대해서는 평화적인 관계를 수립하여 불필요한 전쟁을 억제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