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와 정의의 나라/신학 이야기

‘영국 성공회 대 몰락과 킹 제임스 성경의 의도적 변개(1)’ YouTube!!!

아우구스티누스 2020. 9. 23. 11:20

영국 성공회 대 몰락과 킹 제임스 성경의 변개(1)’YouTube로 올렸다.

 

독자 여러분께서 구글의 검색에 함시영 목사를 기입하면 함시영 목사 관련 이미지가 나타나고, 그 위에 검색결과(함 목사 강의 분야별로 정리)를 참조하면 위의 강의를 듣고, 기독교와 천주교의 차이점은 물론 철학과 타종교와도 비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자가 그 동안 강의한 내용도 시청할 수 있다.

 

성공회 신자 프랭클린 피어스 미국의 제14대 대통령(Franklin Pierce, 재위 1853-1857, 1804-1869: 민주당으로부터 제2기 대통령 후보로 인정받지 못했음)을 제외하곤 미국은 초대 대통령을 비롯해 모든 대통령은 킹 제임스 성경 위에 손을 얹고, 대통령직을 수행하겠다고 선서할 정도로 킹 제임스 성경은 사랑받아왔다.

 

킹 제임스 성경의 번역자들은 거듭난 사람들로 반() 바티칸적인 신앙(교황은 적그리스도)의 기초 위에 학문적인 능력에 있어서도 당대 최고의 석학들이었고, 번역위원회가 익명으로 되어있는 현대성경과는 달리 모두 공개적이다.

 

그런데 영국은 킹 제임스 번역본’(King James Version, KJV)이라고 불리는 흠정역’(欽定譯; Authorized Version, AV)을 변개(變改; 변역變易: 고쳐서 바뀜)하여, 대영제국을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하는 동시에 결국 영국 성공회의 대 몰락을 일으켰다.

 

그러면 먼저 간략하게 성경번역에 대해 살펴보자.

 

영국의 종교개혁의 선구자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1320?-1384)1228년 로마 가톨릭 영국 캔터베리 대주교(Archbishop of Canterbury, 1207-1228)였던 스티븐 랭턴(Stephen[stí:vən] Langton, 1150-1228)이 구약의 장(chapter)을 구분한 라틴역본(그리스어 βουλγάτα Voulgata; 라틴어 Vulgata; 영역 the Vulgate)을 기초하여 자신의 위클리프 영어성경’(John Wycliffe’s Version, 1382)을 탄생시킨다.

 

위클리프 영어성경은 구텐베르크(Gutenberg, 1398-1468)이전에 탄생하였기 때문에, 라틴어를 잉글랜드 민족언어로 번역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50세 때인 151631일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Desiderius Erasmus, 1466-1536)는 자신이 편찬한 헬라어어판 신약성경(the Greek Scriptures)을 자신보다 9세 연하인 교황 레오10(Pope Leo X, 재위 1513-1521, 1475-1521)의 허락으로 스위스 바젤의 프로벤인쇄소(The Press of Froben in Basel)에서 최초로 출판했으며, 이것을 근거로 만든 텍스트를 공인본문또는 수용본문’(라틴어 Textus Receptus; 영어 Received Text)라고 한다.

 

위에서 언급한텍스투스 리셉투스’(라틴어 Textus Receptus; 영어 received text)에 살펴보자.

 

라틴어텍스투스’(textus)는 짜다(weave)의 라틴어 텍세레’(texere)라는 동사의 수동분사로, 남성은 textus, 여성은 texta, 중성은 textum이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이 단어가 후대에 생각이 얽히고 짜여 있는 글을 뜻하게 된다. 라틴어리셉투스’(receptus)는 받아들이다(receive)의 라틴어 레시페레’(recipere)라는 동사의 수동분사로서 받아진, ’수락된, ‘용납된’(accepted, received)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므로 그 두 단어를 합하면 공인본문또는 수용본문’(Received Text)이라는 말이 성립된다.

 

공인본문이란 1516년 에라스무스의 판, 테오도르 드 베즈(프랑스어 Théodore de Bèze; 영어 Theodore Beza, 1519-1605)의 판(1565년부터 1604년까지의 제9, 1611의 제10), 1633년까지의 엘제비어판(The 1633 Elzevir edition)을 가리키는 말이다(The expression Textus Receptus designates all editions of the Greek texts of the New Testament from the Novum Instrumentum omne established by Erasmus in 1516 to the 1633 Elzevir edition).

 

1611년의 영어 킹 제임스 역본’(King James Version)의 신약 번역 대본이 되었던 것은 베즈가 1588-89, 98에 편집한 그리스어 신약이다.

엘제비어 가문(House of Elzevir)의 엘제비어는 17-18 세기 네덜란드의 서점, 출판사 및 인쇄업의 유명한 가문의 이름으로, 보나벤투라 엘제비어(Bonaventura Elzevir, 1583-1652)와 보나벤투라의 조카 아브라함 엘제비어(Abraham Elzevir, 1592-1652)가 유명하다.

 

1633년 판 서문에 엘제비어가는 라틴어로 ‘Textum ergo habes, nunc ab omnibus receptum: in quo nihil immutatum aut corruptum damus.’(What you have here, is the text which is now received by all, in which we give nothing changed or corrupted)글을 써넣었는데, 여기에서 공인본문이란 단어가 유래한다.

 

마르틴 루터 선생님은 에라스무스가 편찬한 헬라어 신약성경의 1519년 제2판을 11주 만에 독일어로 옮겨, 15229월에 독일어신약성경을 출판하는데, 그것을‘9월 성경(독어, 영어 September Testamen; 영어September)이라고 하고, 1534년에 독일어신구약성경을 출판한다.

 

영어 성경의 아버지(Father of the English Bible) 윌리엄 틴들(William Tyndale, 1494-1536)영어역 신약’(1525, 1526)도 에라스무스의 그리스어 신약 제2(1519)을 대본으로 하여 번역된 것이다.

 

윌리엄 틴들 사후 헨리 8(HenryVIII, 재위 1509-1547, 1491-1547)의 명령에 의해 1539그레이트 성경’(The Great Bible)이 출간되고, 국교회의 예배 시 사용된다.

 

15597월 장 칼뱅(라틴어 Ioannes Calvinus; 프랑스어 Jean Calvin; 독어 Joannes Calvinus; 영어 John Calvin; 본명 장 코뱅Jean Cauvin, 1509-1564)의 주도로 제네바대학교의 전신이자 최초의 기독교 대학교(the first Protestant University)인 제네바아카데미(Geneva Academy or the Academy of Geneva)가 창립되고, 칼뱅은 자신의 제자 테오도르 드 베즈(프랑스어 Théodore de Bèze; 영어 Theodore Beza, 1519-1605)를 초대학장으로 청빙(請聘)한다,

 

칼뱅의 주도하에 제네바아카데미 교수진, 잉글랜드에서 망명한 석학들과 목회자들이 협력하여 최초로 장과 절이 구분된 영어로 번역한 동시에 칼뱅의 주석을 요약하여 실은 최초의 영어 주석 성경인 제네바성경(the Geneva Bible)이 완성되며, 뛰어난 헬라어 학자 윌리엄 윗팅햄(William Whittingham, 1524-1579: Durham시 교회에서 1563년부터 1579년까지 사역) 대표편집자 되어, 제네바성경을 출판한다.

 

제네바성경은 여왕 엘리자베스 1(Elizabeth I, 1558-1603, 1533-1603)에게 헌정되었고, 영국에서 1575년에 인쇄되었다. 이 성경은 출판되자마자 청교도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고, 160판을 거듭하면서 큰 인기를 누린다.

 

주교의 성경’(The Bishops’Bible, 1568)은 영국 성공회에서 발행한 것이다. 탄생의 이유는 제네바성경의 칼뱅사상이 영국국교회의 고교회층(the high-church party of the Church of England)의 사상에 저항하기 때문이다. 특히 주교제의 교회정치(government of the church by bishops, episcopalian)를 장로체제(lay elders)로 대체하려는 장로교사상(presbyterianism)이 못마땅하였다.

 

제임스 1(James I, 영국 왕 재위 1603-1625, 1566-1625; James VI, 스코틀랜드 왕 재위 1567-1625)의 명령에 의해 161154명의 학자(질병과 서거로 인한 7명은 빠지고 47명 이름만 기록되어있음)와 성직자가 6개의 팀을 구성하여, 구약은 3개의 팀, 신약은 2개의 팀, 외경은 1개의 팀이 담당하여,‘킹 제임스 번역본’(King James Version, KJV)이라고 불리는 흠정역欽定譯’(Authorized Version, AV)이 탄생한다.

 

성경번역을 지시한 킹 제임스왕을 비롯해 모든 번역자들은 거듭난 크리스천들이자 언어의 귀재들이었다. 번역가들은 웨스트민스터그룹(Westminster Company), 옥스퍼드그룹(Oxford Company), 케임브리지그룹(Cambridge Company)6개의 위원회로 구성되었으며, 구약은 제1차 그룹(웨스트민스터, 옥스퍼드, 케임브리지)이 진행했고, 신약은 제2차 그룹(웨스트민스터, 옥스퍼드), 외경은 제2차 케임브리지그룹에서 맡았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킹 제임스 성경은 당시 성공회 주류와 비주류인 청교도 그리고 엘리트 귀족 계층과 민중 사이의 갈등을 봉합한 동시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을 전 세계에 전파하는데, 매우 귀중한 역할을 하며, 자연스럽게 영어는 국제 언어로 자리 잡는 쾌거를 이룬다.

 

미국식으론 킹 제임스 번역본’, 영국식으론 흠정역이라 한다.

 

1870년 영국 국교회 협의회는킹 제임스 성경의 개정판(a revision of the King James Bible)을 만들 것을 결정한다.

 

바티칸의 예수회의 공략에 의해 킹 제임스 성경의 공인본문’(The Byzantine text-type=Majority Text=Traditional Text=Ecclesiastical Text=Constantinopolitan Text=Antiocheian Text. 사도행전 11:26The disciples were called Christians first at Antioch=Syrian Text)을 부정되고, 수정될 뿐만 아니라 삭제된, 곧 부패된 비평사본을 사용하여, 엉터리 킹 제임스 개정판’(Revision of the King James Bible. 1881 신약, 1885 구약, 1895 외경)이 탄생하며, 영국 성공회는 기독교의 세계와는 거리가 먼 길로 질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