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와 정의의 나라/신학 이야기

‘부정선거는 오컬트 바티칸, 곧 세계사탄정부의 지배통치의 개막이다’

아우구스티누스 2021. 11. 9. 14:33

1. 오컬트 바티칸의 위기와 소생

 

(1) 1517종교혁명으로 오컬트 바티칸의 존재가 위협받지만,‘트렌트공의회’(라틴어 Concilium Tridentinum, 1545-1563; 영어Council of Trent)로 간신히 소생한다.

 

1524 독일루터교회(The Lutheran Church,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설립되자, 산 이냐시오 데 로욜라(스페인어 San Ignacio de Loyola; 영어 St. Ignatius of Loyola, 1491-1556)1534815일 산 프란시스코 하비에르(스페인어 San Francisco Javier; 영어 St. Francis Xavier; 方濟各방제각, 1506-1552)와 자신을 포함한 7명의 사람들(에스파냐 출신의 Ignatius of Loyola, Francis, Alfonso Salmeron, Diego Laínez, Nicolás Bobadilla, 프랑스 사부아 Savoy 출신의 Pierre Lefevre or Favre, 포르투갈 출신의 Simão Rodrigues)과 함께 청빈(poverty), 정결(chastity), 오컬트 바티칸의 교주에 대한 순명(順命)(obedience to the Pope)을 서원하고, 파리(Paris) 북부 몽마르트르 언덕에 있는 생 드니(현재 생 피에르 드 몽마르트르Saint Pierre de Montmartre) 소성당의 지하 묘소(in a crypt beneath the Church of Saint Denis, on the hill of Montmartre, overlooking Paris)에서의 첫 서원을 통해 천주교의 남자 수도회인 예수회(SJ; 라틴어 Societas Iesu; 영어 The Society of Jesus)를 설립하고, 1534년 오컬트 마리아몽소승천축일(Assumption Day)815일 메디치 가문출신의 두 번째 교황 클레멘스 7(라틴어 Clemens PP. VII; 이탈리아어 Papa Clemente VII; 영어 Pope Clement VII, 재위 1523-1534, 1478-1534: 교황 레오 10; 라틴어 Leo PP. X; 이탈리아어 Papa Leone X, 재위 1513-1521, 1475-1521의 사촌동생)의 허락을 받아 몽마르트의 노트르담성당에서 자신을 포함한 7명의 회원으로 시작한다. 예수회가 로마교황청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을 맹세하자 1540년 교황 바오로 3(라틴어 Paulus PP. III; 이탈리아어 Papa Paolo III; 영어 Pope Paul III, 재위 1534-1549, 1468?-1549)가 인가한다. 이 멤버는 예수회의 수사(라틴어 Iesuitæ; 영어Jesuits)라고 부른다.

 

바오로 3세는 자신의 누이 줄리아 파르네세(Giulia Farnese, 1474-1524)를 줄리아 보다 44세 위인 교황 알렉산데르 6(라틴어 Alexander PP. VI; 이탈리아어 Papa Alessandro VI; 영어 Pope Alexander VI, 재위 1492-1503, 1431-1503)의 연인이 되게 하여, 교황이 되기 전 그는 알렉산데르 6세로부터 추기경에 서임돼,‘속치마 추기경이라는 별명을 얻는다.

 

바오로 3세는 사제로 서품받기 전 실비아 루피니라는 귀족 여인을 정부(情婦)로 삼아 슬하에 장남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이탈리아어 Pier Luigi Farnese, 1503-1547: 1534년 자신의 아버지가 교주 바오로 3세로 선출되자 피에르 루이지는 교회군 총사령관과 카스트로 공작이 된다. 어린 사내아이들을 대상으로 동성애 행위를 했고, 1547년 살해됨), 파올로, 라누치오의 세 아들과 코스탄차라는 딸 하나 등 총 네 명의 사생아를 두었다.

 

153466세로 교황에 올라, 그가 한 첫 번째 일은 15341218일 자신의 손자들을 추기경으로 서임한 일이었다.

 

이런 자가 개최한 것이 트렌트공의회.

 

그 후 1534 11월 영국성공회(The Church of England, or Anglican Church, 헨리 8Henry VIII, 재위 1509-1547, 1491-1547/미국성공회The Episcopal Church), 1560년 스코틀랜드장로교회(The Church of Scotland or The Presbyterian Church of Scotland, John Knox, 1510-72), 1609년 암스테르담 침례교회(Baptist Church in Amsterdam, the Netherlands, 존 스미스John Smyth, 1565-1612), 1739년 영국 감리교회(The Methodist Church of Great Britain,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 1865년 구세군교회(1865 크리스천신앙부흥협회The Christian Revival Society1878년 구세군The Salvation Army으로 변경, 윌리엄 부스William Booth, 1829-1912와 그의 부인 캐서린Catherine Booth, 1829-1890) 등의 설립으로 오컬트 바티칸은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지만, 후에 WCC를 통해 기독교를 초토화시킨다.

 

(2) 1789-1799년의 프랑스대혁명(프랑스어 Révolution française; 영어 French Revolution) 이후, 18307월 혁명과 18482월 혁명이 발발하기 때문에, 이 두 혁명과 비교하여 프랑스 대혁명이라고 부름)은 위그노전쟁; French Wars of Religion; Huguenots Wars, 1562-1598), 15728월의 () 바돌로매(그리스어 ΒαρθολομαοςBartholomaîos; 리틴어 Bartholomaeus; 영어 Bartholomew=나다나엘; 히브리어 נְתַנְאֵל Netanel; 그리스어 ΝαθαναήλNathanaḗl; 영어 Nathanael) 축일의 학살’(프랑스어 Massacre de la Saint-Barthélemy; 영어 The St. Bartholomew's Day massacre), 15984월의 낭트칙령’(프랑스어 Edit de Nante; 영어 Edict of Nantes)를 폐지한 168510월의퐁텐블로칙령’(Edict of Fontainebleau)의 반포의 결과로 일어나, 오컬 바티칸이 영원히 사라질 운명에 처하지만,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éon Bonaparte, 프랑스 제1제국의 황제1804-1814, 1815, 1769-1821)의 등장으로 천주교가 잔존한다.

 

(3) 주세페 마치니(Giuseppe Mazzini, 1805-1872)와 주세페 M. 가리발디(Giuseppe Maria Garibaldi, 1807-1882)의 협력으로 이탈리아 통일 운동(Risorgimento, 1750-1870)을 완성하여 1860년 근대 통일 이탈리아 국가를 세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이탈리아어 Vittorio Emanuele II; 영어 Victor Emmanuel II , 재위 1861-1878, 1820-1878)는 로마와 라티움(Latium)을 제외한 오컬트 바티칸 교주의 영토를 점령하고, 10년 후인 1870년에 교주령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무력으로 침공해 점령하여, 비오 9(라틴어 Pius PP. IX; 이탈리아어 Papa Pio IX, 재위 1846-1878, 1792-1878)바티칸의 포로의 생활로 오컬트 바티칸이 사라진다.

 

그런데 59년 후인 1929년 이탈리아 당시 수상 베니토 무솔리니(이탈리아어 Benito Andrea Amilcare Mussolini, 재위 1922-1943, 1883-1945) 정권과 오컬트 바티칸의 교주 비오 11(라틴어 Pius PP. XI; 이탈리아어 Papa Pio XI; 영어 Pious XI, 재위 1922-1939, 1857-1939)에 사이에 라테라노(이탈리아어 Palazzo Laterano; 영어 Lateran Palace)에서 라테라노 조약(라테란조약; 라틴어 Pacta Lateranensia; 이탈리아어 Patti lateranensi; 영어 The Lateran Treaty)을 체결과 더불어 1947년 이탈리아의 헌법에 인준되어바티칸시국(市國)(라틴어 Status Civitatis Vaticanae; 이탈리아어 Stato della Citta del Vaticano; 영어 The Vatican City State)이 탄생한다.

 

2. 오컬트 바티칸의 WCC의 장악을 통한 기독교말살

 

2차 바티칸공의회(The Second Ecumenical Council of the Vatican; the Second Vatican Council; Vatican II, 1962-1965)를 개최한 요한 23(라틴어 Ioannes PP. XXIII; 이탈리아어 Papa Giovanni XXIII; 영어 Pope John XXIII, 재위 1958.10.28.-1963.6.3, 1881-1963)19591214일 추기경회(라틴어 Consistorium; 영어 Consistory)에서 자신과 동년배로 독일 예수회사제로 13(1945-1958) 동안 교황 비오 12(라틴어 Pius PP. XII; 이탈리아어 Papa Pio XII; 영어 Pope Pius XII, 1939.3.2.-1958, 1876-1958)의 고해신부(a confessor to Pope Pius XII)를 지낸 아우구스틴 베아(Augustin Bea, S. J. 1881-1968: 21세 때인 1902418일 예수회에 가담하고, 31세 때인 1912825일 사제서품을 받았고, 1912-1917의 아헨Aachen의 예수회 지역구장, 1921-1924의 독일 예수회의 관구장)를 추기경으로 임명하고, 2차 바티칸 공의회가 개최된 동안, 그에게 유대 민족과의 화해와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문헌을 제정하는 임무를 맡기고, 베아 추기경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그리도교와 유대교와의 관계에서 큰 영향을 미친다(특히 반유대주의를 거부하는 우리시대Nostra Aetate; 영어 In our time’의 작성).

 

그리고 196066일 요한 23세는 베아 추기경을 에큐메니컬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새로 창설한 교황청 초대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의장(the first president of the newly formed Secretariat for Promoting Christian Unity, a Curial organization charged with ecumenical affairs)으로 임명하고, 베이 추기경은 서거할 때까지 8년 동안 그 직을 맡는다.

 

1961년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19488, 네덜란드 암스테르담Amsterdam, the Netherlands에서 창립) 총회에 처음으로 오컬트 바티칸의 대표가 참가하며, 이때부터 예수회가 WCC에 개입하여 기독교를 말살시키는 동시에 다원주의시대를 연다.

 

3. 부정선거의 정체성

 

예수회의 바이든(Joe Biden, 1942-) 미국대통령과 티모테오의 문재인(文在寅, 1952-) 대한민국대통령 그리고 천주교도 안토니우 구테흐스(포르투갈어 António Manuel de Oliveira Guterres, 1949-: 1995-2002년 포르투갈의 총리를 지냈고, 2005.6-2015.12월까지 유엔 난민 기구에 재직) 9대 유엔사무총장(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2017.1.1.-) 등의 등장으로 오컬트 바티칸의 프란체스코 세계단일정부가 수립되었다.

 

부정선거제도는 오컬트 바티칸의 세계통치수단이다. 오컬트 바티칸이 중국 공산당(중국산 AI기술이 미국을 압도/미국이 제조업 아웃소싱 열풍이 불면서 인건비가 낮은 아시아 지역으로 생산 기반이 옮겨져서 중국에 추락 당할 수 있지만 산업스파이활동으로 무너짐)과의 협력으로 자신들이 원하는 범천주교세력을 지도자로 만들기 위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것을 제거하기란 하늘에 별 따기다.

 

4. 부정선거의 타파의 방법

 

(1)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다시 오심

 

기독교인의 자유를 뛰어넘는 성삼위하나님의 주권에 속하기 때문에, 인내하며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사랑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2) WCC에 가입한 범천주교세력인 기독교의 탈퇴

 

이전의 기독교가 WCC에서 탈퇴하여, WCC에 가입하지 않는 기독교와 연합해 오컬트 바티칸이 기독교가 아님을 전 세계에 선언하며, 오컬트 바티칸의 세계통치지배에 저항하면 대승리할 수 있다,

 

범천주교세력인 기독교의 WCC탈퇴는 어렵다. 그 이유는 이들은 오컬트 바티칸이 제공하는 성직계급과 평신도라는 종교권력, 바티칸의 고위성직자들의 호화로운 생활과 성적문란의 쾌락의 늪에 빠져 지옥의 세계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3) 대법원장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위원장의 엄격한 선정과 선거감시단의 활동

 

천주교의 영구집권을 위해 부정선거에 눈감고 있는 대법원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비롯한 관련기관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은 종신형으로 다스려야 한다.

 

지난 부정선거가 밝혀지지 않으면 내년 대통령선거는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최악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선거제도개정(개표 시스템도입, 사전투표금지, 투표용지의 일련번호는 바코드 형태로 절취 부분과 비절취 부분 두 군데에 각각 표시하여, 투표 뒤 문제가 발생하면 절취 부분과 비절취 부분을 대조해 확인 등)과 선거감시단의 활동(보관, 이송 과정을 영상물로 촬영하여, 투표관리관과 투표참관인 등이 촬영 기간에 언제든지 영상물을 확인함 등)이 중요하다.

 

(4) 고위공직자의 종교 밝히기

 

대한민국의 모든 곳에 똬리를 틀고 자리 잡고 있는 모든 천주교도들, 곧 무정부주의자들을 색출하여, 추방시켜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 자유민주공화국, 시장경제주의, 건전하며 건강한 복지국가건설이념이 소생되어야 한다.

 

5. 종합

 

대한민국국민 모두가 일어나 오컬트 바티칸과의 교류를 금하는 동시에 천주교도 모두를 그들의 조국인 오컬트 바티칸으로 추방시켜야 한다. 이런 무정부주의자들이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한, 항상 갈등과 투쟁 등의 카오스세계가 연출되어, 국가의 안보가 불안하고, 천주교의 성직자들의 귀족과 천주교도의 평민 그리고 국민의 노예계급이 형성되어, 지옥의 세계가 된다.